전체 글
-
공대생이 생각하는 행복 : 철학의 이해가치관 2021. 1. 26. 14:06
내용정리 양심이란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도덕적인 책임을 생각하는 감정상의 느낌이다. 양심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서양사상의 헤겔, 칸트, 스토아 학파가 있고 동양사상의 맹자의 양심론이 있다. 양심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바른 말과 행동을 하려는 마음이다. 행복의 사전적 의미는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심하는 것' 또는 '자신이 원하는 욕구와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이다. 역사적 관점에서 행복론은 고대, 중세, 근대의 시대 순서로 정리된다. 고대 서양의 행복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 바탕을 둔 헬레니즘 행복론과 기독교의 종교적 전통에 근거한 헤브라이즘 행복론이 있다. 중세의 행복론은 기독교 신앙에 따른 관점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기..
-
지하에서도 햇빛을 쬐는 방법 [지하공간의 자연채광기법/*선큰]건축공학 2021. 1. 25. 17:58
지하공간은 햇빛이 들지 않아서 많은 단점들이 있어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지하층 집이 더 싸더라도 기피하게 되는데, 사실 지하공간에서도 햇빛을 쬘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소개하기 전에 그 문제와 필요성을 다루겠습니다. 1. 지하공간에서의 자연채광 필요성 1) 지하공간의 문제점 •자연채광, 외부조망의 부재 •심리적 불안감과 폐쇄감 유발 •습기조절, 환기 어려움 •비효율적 에너지 사용 •정전에 취약 •경제적 가치 하락(건물주 입장) 2) 자연채광의 장점 •친환경적, 효율적 에너지 사용 •자연스런 분위기 연출 •심리적 안정감 제공 •시각적 쾌적감 제공 •시간의 흐름 예측 가능 이와 같이 지하공간에는 햇빛의 부재에 따라 많은 문제들이 있고 자연채광은 많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은 지하공간에..
-
25살 남자, 대학생이 생각하는 '정의와 분배'가치관 2021. 1. 20. 14:45
정의와 분배 나는 기본적으로 재화의 업적, 능력에 따른 분배가 옳다고 생각한다. 개인이 만들어내는 생산성에 근거하여 재화가 분배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불평등, 양극화, 사회적 약자 배려의 한계, 타고난 능력이나 환경의 영향의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정의로운 재화의 분배가 무엇인지 논하기 위해서는 이 경제적 불평등, 즉 격차를 인정할지 말지를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격차는 부당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더 맛있는 음식, 더 편리한 서비스, 더 튼튼하고 성능 좋은 제품, 더 재미있는 여가에 돈, 재화를 소비하기를 우리 모두가 원한다. 때문에 경제적 불평등, 즉 격차는 우리 스스로 만드는 것이며 당연히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것이다...